모바일 마케팅

안드로이드 플랫폼 구조 및 생태계 벤치마크 - 안드로이드 마켓

kimjstory 2014. 5. 7. 09:48



  • 안드로이드 생태계 벤치마크
웹앱을 기반으로 안드로이드와 같은 플랫폼을 만들고자 하는 회사에서 안드로이드가 플랫폼으로 하는 역할 중심으로 Benchmark 강의 의뢰가 들어가서 진행했던 강의 내용 중 안드로이드 플랫폼 및 생태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 내용을 공유합니다. 

[안드로이드 생태계의 이해]

출처 : "이게 진짜 안드로이드 마케팅이다" 22P


[안드로이드 생태계 Benchmark]

  • 플랫폼 제공자

제공 Vendor 

서비스 구분 

제공 서비스 

예시 

비고 

구글 

클라이언트 

- SDK

- Android OS

- Emulator 

 

 - 개발자들이 앱을 개발해서 다양한 수익화 수단 및 분석 수단을 접목시켜 안드로이드 마켓을 통해 돈을 벌 수 있도록 하는 구조 제공

 

서버 

- 구글 Play(안드로이드 마켓)

- 과금/정산 서비스(IAP 등) 

 

 

 

 백오피스

- 구글 Play 개발자 콘솔 : 앱 상점 관리, 사업적 성과(설치 수, 삭제 수, 매출 등)에 대한 기본적 모니터링 

- https://play.google.com/apps/publish/ 

 - 앱 상점 정보 관리

- 세계화 지원(국가별로 전혀 다른 내용의 앱 상점 정보 관리 가능, 앱 출시 대상 국가 지정 가능)

- 세계화를 위한 번역 서비스 제공

- 사업적 성과 지표 관리(KPI 및 매출 등)

- 제품 테스트 기능(알파, 베타, Staged-Rollout)

- 유저 평점 및 리뷰 모니터링과 유저 리뷰에 대한 개발사 응답 기능 제공

- 유저별 관리 페이지 권한 관리 기능

 

 서비스 운영

- 앱 승인, 공정 경쟁을 위한 서비스 운영, 정책/지침 제공

- 제품 안정화를 지원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

- 환불 정책 및 기능 제공 

- 알파 테스트, 베타 테스트 관리 기능 및 베타 테스트 그룹 관리를 구글+(또는 구글 그룹스)를 통해세 제공 

 

 

 문서화 및 KM

- 앱 개발 및 운영을 위한 지식 및 Q&A 

- http://developer.android.com/ 

- 개발자 가이드라인

- UI 가이드라인

- 앱 품질 가이드라인 등 


  • 3rd-Party Infra

제공 Vendor 

서비스 구분 

제공 서비스 

예시 

비고 

 3rd-Party

 수익화 수단

- 모바일 애드 네트워크 

- 애드몹, 카울리, 아담, U+ 애드 ... 

- 글로벌 및 Local 커버리지 모두 가능

- 무료 앱의 주요 수익화 수단 : 광고

- 게임 앱의 주요 수익화 수단 : 앱내결제 방식을 활용한 프리미엄 전략

- 유료 앱 판매 : 다양한 빌링 서비스의 지원 

 

 3rd-Party 앱스토어

- 안드로이드 기반 3rd-Party 사설 마켓 서비스 

- T-store, Samsung apps, Amazon apps ... 

- 다양한 사설 마켓들이 존재(수익 다각화 가능성 및 개발비 지원자로서의 역할 수행) 

 

Billing 서비스 

- 다양한 빌링 서비스 접목 가능 

- Google Wallet, 3rd-Party billing 서비스 

- 글로벌 및 Local 커버리지 모두 가능함 

 

분석, 통계 서비스 

- 정교한 성과 측정을 위한 각종 분석, 통계 서비스 

- Appannie, Distimo, Google Analytics ... 

- 다양한 무료/유료 3rd-Party 솔루션 존재하며 글로벌 및 Local 커버리지 됨

- SPI(Service Provider API) 방식의 Account API를 구글에서 제공해서 구글 Play ID/PWD로만 정보 연동 및 고급 분석이 가능함

- KPI 형식의 앱별 성과관리를 쉽게 가능함 

 

클라우드 서비스 

- GDrive, 구글 Maps(위/경도 변환 서비스 등), 구글 Voice 등 다양한 구글 서비스 

 

 

 

 지식 서비스

- 사업 및 개발을 위한 각종 통계 자료 들을 다양한 기관들이 제공

- 각종 교육 서비스 

- Icrossing : 안드로이드 국가별 시장 점유율 정보 및 각종 통계 정보

- 전문 교육기관을 통한 안드로이드 개발자 양성 

 

 

 오픈 API

- Mash-up 서비스를 쉽게 개발하기 위한 다양한 오픈 API 존재 

- 검색 API, 지도 API, 공공 정보 API 등

- http://programmableweb.com 

- 안드로이드에 특화된 것은 아니고, 모든 플랫폼에서 중시되어야 하는 중립적인 서비스 영역임 


  • 개발자 Side

제공 Vendor 

서비스 구분 

제공 서비스 

예시 

비고 

 구글

개발 Architecture 및 개발 API 

- 컴포넌트 기반 개발(App Library 개념 및 loosely coupled의 극대화)

- Resource 외부화 극대화(유지보수 성 증가) : 문자열, 이미지, Layout, Animation, menu 등

- 다양한 스크린 사이즈 지원을 쉽게 할 수 있는 아키텍처 및 API 제공

- 실행 가능 단말 타겟팅(Manifest.xml 파일 활용) 

- Activity(UI), Service(Background 업무 처리), Receiver(Event Model로 수행되는 컴포넌트 모델-Intent), Provider(앱간의 Data Sharing)

- DIP, 9 Patch, 가변 스크린 지원 API(match_parent weight=1) 등 

- 컴포넌트 기반 설계의 장점(앱 실행 시점의 다양화가 가능-내 앱에서 SMS 앱을 Library 처럼 호출해서 이용 가능함, Application Library 개념 활용이 가능해짐)

- 폰과 태블릿을 하나의 앱으로 쉽게 지원할 수 있는 아키텍처 및 API 제공

- 앱이 정상적으로 구동 가능한 Device에만 설치될 수 있도록 Manifest.xml 파일을 활용해서 관리 가능

 구글

앱 상점 페이지 

- 앱 제품에 대한 상점 역할을 하는 '앱 제품 상점 페이지' 제공 

 

- 개발자 콘솔에서 이 영역을 관리하는 기능 제공 

 개발자 Pool

개발 도구 제공 

- 에뮬레이터 등 개발자 생산성 향상을 위한 여러 도구들을 자체 개발해서 제공(이클립스 프러그인 형태 등) 

- http://www.kmshack.kr/347 

 

 개발자 Pool

지식 공유 

- 개발서적이나 개발을 위한 각종 팁 및 Q&A 등이 이루어지는 개발자 Pool 및 개발자 Site를 형성함 

- 안드로이드펍(커뮤니티)

- 각종 개발서적, 마케팅 서적

- 유저 세미나

- 각종 교육기관 

 

 개발자 Pool/구글

모방 가능 앱 리스트 

- 양질의 앱 개발을 위한 모방 가능한 많은 앱 리스트 

- 증강현실 앱, 바코드 앱, 게임 앱과 같은 모방가능 앱이 많음 

- 안드로이드 생태계 형성 전 초창기부터 각종 구글 서비스들을 안드로이드 앱으로 제공하며, 소스코드 참조를 통해 양질의 앱 개발이 가능하도록 했음 

 개발자

매출을 발생시킬 수 있는 앱 

- 사용량이 많은 무료 앱 : 유저들이 정기적으로 꾸준히 이용하는 앱

- 유료 앱 : 유저가 비용을 지불하고 구매해야 하는 앱

- 사용량이 적은 무료 앱 : 어떤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앱 

- 카카오톡, 유투브 앱 등

- 전자사전, 교육 앱, 유료 게임 앱 등

- 배경화면, 플래시라이트 앱 등 

- 애드 네트워크, 인앱 API, 빌링 API를 제공해서 다운로드 및 Active User 수를 현금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

- 매출 관점에서 도달 가능한 단말 숫자가 많은 것이 매우 중요함 


  • 소비자 Side

제공 Vendor 

서비스 구분 

제공 서비스 

예시 

비고 

 구글

앱 상점 페이지 

- 앱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앱 상점 페이지 

 

- 기능은 작지만, 플랫폼 제공자, 개발자, 소비자의 이해관계가 모두 접목되는 가장 중요한 요소임

- 다국어 지원 및 출시 국가별로 전혀 다른 내용의 앱 상점 내용을 구성하고 관리 가능(개발자 콘솔 연동)

- 유저가 앱의 유용성 판단을 쉽게 하기 위한 표준화 정보로 앱 평점, 리뷰, 앱 아이콘, 스크린샷, 앱 설명이 제공됨(관리자 콘솔에서 관리)

- 주요 다운로드 카테고리 : 게임(26%), 엔터테인먼트(12%), 도구(11%), 커뮤니케이션(6.5%) 

 구글

앱 노출, 발견 서비스 

- 앱 검색, 카테고리 검색, 상위차트 운영, Editors' Choice, 링크 연동 제공 

 

- 각각의 앱 상점 페이지를 최종 페이지로 띄워줌

- 링크 연동을 통해 웹페이지의 앱 광고(또는 신문기사 등)에서 한번 클릭으로 바로 구글 Play 앱 상점 페이지가 직접 호출되는 기능을 제공

- 각종 신규 앱 노출 기회 제공 및 유용한 앱을 유저에게 쉽게 소개할 수 있는 앱 포털 서비스 운영(상위차트, Editors' Choice)

- 지역 서비스를 고려한 운영 Know-how 형성함(국가별로 가장 적합한 앱 포털 서비스 정보가 제공됨) 

 3rd-Party App

앱 노출, 발견 서비스 

- 다양한 분야별 유용한 앱에 대한 정보를 큐레이션 방식 및 크롤링 방식으로 수집해서, 유저 친화적으로 앱을 노출시키거나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 

- 앱순이, appbrain, appaware 

- 각각의 앱 상점 페이지를 최종 페이지로 띄워줌 

 웹 생태계

기존 웹 생태계를 활용한 앱 노출 및 발견 

- 웹 검색엔진, 제품 웹사이트, Blog, 뉴스 매체, SNS, 웹 광고 네트워크 

 

- 안드로이드 생태계 관점에서는 홍보와 마케팅 Vehicle 및 Open API 제공 인프라 정도의 의미를 지님 

 전통 마케팅 매체

전통 매체들을 활용한 앱 노출 및 발견 

- TV, 라디오, 신문 

 

- 안드로이드 생태계 관점에서는 홍보와 마케팅 Vehicle 정도의 의미를 지님 

 

- 저서 : "이게 진짜 안드로이드 마케팅이다"